-
c++ 배열 사용 팁백준코딩일기 2020. 10. 17. 09:20
1. 전체를 특정 값으로 초기화 시킬 때,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
1). cstring 헤더에 있는 memset함수를 활용하는 방법
-> 실수할 여지가 굉장히 많음. 0이나 -1 이 아닌 다른 값을 넣으면 오동작하거나,
2차원 이상의 배열을 함수의 인자로 넘겨 그 곳에서 memset을 하면 잘 못 들어가기도 함.int a[10]; memset(a, 0, sizeof a);
2). for문을 돌면서 하나하나 값을 바꾸는 방식
-> 실수할 여지가 없어서 무난하고 좋음int b[10]; for(int i=0; i<10; i++) { b[i] = 0; }
3). algorithm 헤더의 fill 함수 이용 -> 실수의 여지가 적음. 코드가 짧아서 익숙해진다면 가장 추천하는 방식
int c[10]; fill(c, c+10, 0);
int c[10]; for(int i=0; i<10; i++){ fill(c[i], c[i]+10, 0) }
2. STL vector
vector 는 배열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자료구조
배열과 마찬가지로 원소가 메모리에 연속하게 저장되어서 O(1)의 인덱스를 가지고 각 원소로 접근 가능.배열과 다르게 크기를 자유자재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.
추후에 그래프의 인접 리스트라는 것을 저장할 때에는 vector를 사용하는 것이 편해서 필요하지만, 그 전에는 배열대신 쓸 필요는 없음.레퍼런스 사이트 :: www.cplusplus.com/reference/vector/vector/
vector - C++ Reference
difference_typea signed integral type, identical to: iterator_traits ::difference_type usually the same as ptrdiff_t
www.cplusplus.com
** vector 멤버함수 **
- v.front(); // 첫번째 원소를 참조
- v.back(); // 마지막 원소를 참조
- v.at(idx); // idx번째 원소를 참조
v[idx] 보다 속도는 느리지만, 범위를 점검하므로 안전함 - v[idx]; // idx 번째 원소를 참조
범위를 점검하지 않으므로 속도가 v.at(idx)보다 빠릅니다. - v.assign(5, 2);
- 2의 값으로 5개의 원소 할당.
- v.clear();
- 모든 원소를 제거합니다.
- 원소만 제거하고 메모리는 남아있습니다.
- size만 줄어들고 capacity는 그대로 남아있습니다. - v.push_back(7);
- 마지막 원소 뒤에 원소 7을 삽입합니다. - v.pop_back();
- 마지막 원소를 제거합니다. - v.begin();
- 첫번째 원소를 가리킵니다. (iterator와 사용) - v.end();
- 마지막의 "다음"을 가리킵니다 (iterator와 사용)
- v.rbegin();
- reverse begin을 가리킨다 (거꾸로 해서 첫번째 원소를 가리킵니다)
- iterator와 사용. - v.rend();
- reverse end 을 가리킨다 (거꾸로 해서 마지막의 다음을 가리킵니다)
- iterator와 사용. - v.reserve(n);
- n개의 원소를 저장할 위치를 예약합니다(미리 동적할당 해놉니다) - v.resize(n);
- 크기를 n으로 변경한다.
- 더 커졌을 경우 default값인 0으로 초기화 한다.
- v.resize(n,3);
- 크기를 n으로 변경한다.
- 더 커졌을 경우 인자의 값을 3으로 초기화한다.
- v.size();
- 원소의 갯수를 리턴한다. - v.capacity();
- 할당된 공간의 크기를 리턴한다.
- 공간 할당의 기준은 점점 커지면서로 capacity를 할당하게 됩니다.
**size와 capacity에 관계는 4번 항목에서 설명드립니다. 중요하니 꼭 보고 가세요
- v2.swap(v1);
- v1과 v2의 원소와 capacity 바꿔줍니다. (모든걸 스왑해줌)
- v1의 capacity를 없앨때 (할당한 메모리를 프로그램이 끝나기 전에 없애고 싶을때) 사용하기도 합니다.
- v2를 capacity가 0인 임시 객체로 만들어서 스왑을 해줍니다.
- vector<int>().swap(v1); - v.insert(2, 3, 4);
- 2번째 위치에 3개의 4값을 삽입합니다. (뒤엣놈들은 뒤로 밀림) - v.insert(2, 3);
- 2번째 위치에 3의 값을 삽입합니다.
- 삽입한 곳의 iterator를 반환합니다. - v.erase(iter);
- iter 가 가리키는 원소를 제거합니다.
- size만 줄어들고 capacity(할당된 메모리)는 그대로 남습니다.
- erase는 파라미터 하나를 받을때와 두개를 받을 때 다릅니다.
- 그에 따른 예제는 여기있습니다. - v.empty()
- vector가 비었으면 리턴 true
- 비어있다의 기준은 size가 0이라는 것이지, capacity와는 상관이없습니다.
#include <bits/stdc++.h>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void) { vector<int> v1(3, 5); // {5,5,5}; cout << v1.size() << '\n'; // 3 v1.push_back(7); // {5,5,5,7}; vector<int> v2(2); // {0,0}; v2.insert(v2.begin()+1, 3); // {0,3,0}; vector<int> v3 = {1,2,3,4}; // {1,2,3,4} v3.erase(v3.begin()+2); // {1,2,4}; vector<int> v4; // {} v4 = v3; // {1,2,4} cout << v4[0] << v4[1] << v4[2] << '\n'; v4.pop_back(); // {1,2} v4.clear(); // {} }
'백준코딩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845) 큐 c++ (0) 2020.11.04 10804) 카드 역배치 c++ (0) 2020.10.17 1919) 애너그램 만들기 c++ (0) 2020.10.17 13300) 방 배정 c++ (0) 2020.10.17 11328) Strfry c++ (0) 2020.10.17